본문 바로가기

Daily/정보

활동성이 적어 살이 찌기 쉬운 겨울,  식욕 참는 법 있을까?#

   






활동성이 적어 살이 찌기 쉬운 겨울,  식욕 참는 법 있을까?#





겨울, 살이찌고 식욕 증가의 원인은 다양합니다. 쌀쌀해진 겨울 날씨로 체온이 떨어지면서

우리 몸의 에너지 소비가 빨라져서 포만감을 느끼지 못하고 소비되는 에너지를 음식으로 다시 채우려는 현상 때문입니다.

, 일조량과 호르몬의 영향도 있습니다. 겨울은 여름보다 낮의 길이가 짧아져서 햇빛에 노출되는 양이 감소하게 됩니다.

햇볕을 쬐는 것으로 얻을 수 있는 '행복호르몬' 세로토닌의 합성이 줄면 식욕 조절이 어려워집니다.



'행복 호르몬으로 알려진 세로토닌은 보통 일조량에 비례해 분비되는데,

엔도르핀과 같이 뇌 시상하부 중추에서 만들어지는 신경전달물질입니다. 이 호르몬은 심신의 안정을 돕고 기분을 좋게 해주며,

소화작용을 조절하고, 충동적인 행동을 억제해 준답니다

. 또한 여름철 몸매 관리를 위해 참았던 식욕 관리의 소홀함 때문이기도 해요.

이렇게 겨울철 증가하는 식욕을 조절하지 못하고 그대로 음식물을 섭취하게 되면 급격히 살이 찔 뿐만 아니라 비만으로 이어지기 쉽습니다.

여름 동안 노력해서 유지해온 건강하고 아름다운 신체가 망가지지 않도록 식욕 조절을 하는 것이 중요하겠죠?

겨울철 늘어난 식욕 참는 법, 식욕을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?









먼저, 식사를 할 때 식이조절이 중요합니다. 아래 소개해드리는 내용을 참고하셔서, 오늘부터 바로 적용해보는 건 어떨까요?

1) 음식 천천히 먹기: 식사할 때 천천히 먹어서 포만감을 느껴 과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다들 알고 계실 거예요. 음식을 먹을 때 보통 포만감을 느끼기까지 20여 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여유롭게 식사를 하는 것이 과식을 예방하는 방법이랍니다.

2) 간식 먹기: 끼니를 거르거나 공복 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되면 체내에서그렐린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되며, 그렐린은 시상하부에 있는 섭식중추를 자극해 배고픔을 느끼게 합니다. 때문에 식욕을 억지로 참다 보면 폭식으로 이어질 수 있어 간단한 간식으로 공복감을 덜어주는 것도 좋답니다. 고구마, 감자 등 칼로리가 낮고 포만감이 높은 음식을 간식으로 섭취하는 것을 권해드립니다.

3) 단백질취량 늘리기: 단백질 섭취량을 늘리면 공복감을 덜 느낄 수 있으며 포만감을 자극하는 시간을 늘려 체온을 높게 유지시켜 줍니다.

4) 먹을 만큼 덜어 먹기: 식사를 하기 전에 얼만큼을 먹을 것인지 미리 생각해 두고, 개인 접시에 먹을 양만큼만 덜어 더 이상은 먹지 않는 습관을 들여보세요. 식욕 참는 법으로 도움이 될 거예요.









낮 동안 외부에 나가 적극적으로 햇빛을 15-20분 쬐는 것을 추천드립니다

날이 추워 나가기가 힘들다고 생각만 하지마시고, 산책을 통해 햇볕 쬐기를 해보세요.

햇볕을 쬐면 세로토닌 분비가 활성화되면서 심신이 안정되고, 기분이 좋아지며, 소화작용을 조절하고,

충동적인 행동을 억제하는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. 세로토닌이 분비하려면 트립토판이라는 아미노산이 필요한데요.

음식 중에서는 돼지고기, 두부, 바나나 등에 해당 성분이 풍부하니 참고하시면 좋겠어요.










조깅, 요가 등의 운동을 하면 몸에서 엔돌핀이 분비되어 식욕을 억제하는데 도움을 줍니다.

엔돌핀은 웃을 때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피로회복은 물론 암을 치료하고 통증을 해소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.

그러나 일교차가 큰 지금과 같은 환절기에는 신체 리듬의 변화가 급격히 일어날 수 있어서 갑작스럽게 과도한 운동을 하지는 말아주세요.

갑작스러운 과도한 운동으로 인해 면역력이 저하될 수 있고, 자칫 관절이나 인대 부상으로도 이어질 수 있답니다.

맨손체조나 스트레칭, 걷기 등 가벼운 유산소 운동으로 시작해 조깅, 수영, 자전거 타기 등으로 차츰 강도를 높여가는 것을 추천드려요.










대개 단기간의 급성 스트레스는 식욕을 감소시키지만 스트레스가 지속되면 식욕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.

식욕 참는 법이 궁금하다면, 먼저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게 우선이에요. 우리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이에 대한 반응으로 뇌의 시상하부에서

식욕을 억제하는 코르티코트로핀이 방출됩니다.

, 뇌의 부신에서는 에피네프린 분비를 촉진시키는데요. 이는 일시적으로 식욕을 저하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합니다.

때문에 단기간 급성 스트레스는 입맛을 떨어뜨리게 하죠. 스트레스가 지속되면 뇌의 부신에서에피네프린외에코르티솔이라는

호르몬을 분비한답니다. 이 호르몬은 생리학적으로 식욕을 증가시키며,

무엇인가를 먹고자 하는 심리적 갈망을 촉진시켜요.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이 사라지면코르티솔의 분비가 정상적으로 돌아오지만,

만성적으로 지속되면코르티솔은 계속 상승된 상태로 유지되고, 그 결과 음식을 계속 섭취하게 된답니다.

스트레스가 지속되지 않도록 평소에 자신만의 관리법을 찾아 심신을 안정시켜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.